과정명 | 7. 철강 파손원인 분석 및 공정별 불량 대책 |
교육목표 | ο 산업현장 요구수준의 변화를 이해하고 사용수명 향상을 위한 공정과 품질관리 수준을 상향 조정할 방안을 모색한다. ο 제강공정을 이해하고 원소재 불량을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. ο 냉간 및 열간 단조시 금속의 특성변화와 불량해결 절차를 이해한다. ο 각종 열처리품의 불량사례를 통해 문제해결 능력배양 및 절차를 실무에 적용한다. |
교육대상 | 금속관련 산업 임원, 생산 및 품질관리 담당자, 기술개발자, 외주담당자 등 |
일차 | 시간 | 교과목명 | 강의시간 | 강사 |
이론 | 실습 |
1일차 | 09:30~10:00 | 오리엔테이션 | | 0.5 | |
10:00~12:00 | 산업현장 요구수준의 변화 | 2 | | |
13:00~17:00 | 금속재료 기초 및 철강 상태도 해설 | 2 | | |
16:00~17:00 | 재료시험 현장 활용 및 파손분석 기법 | 2 | | |
2일차 | 10:00~12:00 | 제강시 발생한 원소재 불량사례 | 2 | | |
13:00~16:00 | 미세조직으로 보는 열처리 불량사례 | 3 | | 김인식 |
16:00~17:00 | 가공 및 설계 불량에 의한 파손사례 | 1 | | |
3일차 | 10:00~12:00 | 침탄, 질화, 고주파 열처리 불량사례 | 2 | | |
13:00~15:00 | 잘못된 금속 시험분석 사례 | 2 | | |
17:00~17:30 | 설문조사 | | 0.5 | |
계 | 16 | 1 | |
교과목 | 주요내용 |
산업현장 요구수준의 변화 | ο 근대 산업현장 요구수준과 품질관리 ο 현대 산업현장 요구수준과 품질관리 |
금속재료 기초 및 철강 상태도 해설 | ο 금속의 결정구조에 따른 물성변화 ο 철강 상태도 해설 및 미세조직 해설 |
재료시험 현장 활용 및 파손분석 기법 | ο 각종 성분분석 기법 및 장비별 특성 ο 각종 기계적 성질 및 물성 측정법 및 오차 해석 |
제강시 발생한 원소재 불량사례 | ο 제강공정 불량에 의한 원소재 불량사례 ο 가공시 파손된 제품의 원소재 불량사례 |
미세조직으로 보는 열처리 불량사례 | ο 열처리 제품의 불량해결을 위한 미세조직 해석기법 ο 냉각 방법과 냉각 속도에 따른 미세조직 판정법 |
가공 및 설계 불량에 의한 파손사례 | ο 단조 및 프레스 가공에 의한 불량 불량사례와 분석기법 ο 열처리 이후 칫수 변형의 원인이 되는 가공불량 사례 |
침탄, 질화, 고주파 열처리 불량사례 | ο 고주파 열처리품의 파손원인 분석 및 불량대책 사례 ο 침탄 열처리품의 파손원인 분석 및 불량대책 사례 ο 기타 열처리품의 파손원인 분석 및 불량대책 사례 |
기술지도 사례 및 각종 열처리 장치 | ο 신제품 개발 및 불량해결을 위한 기술지도 사례 ο 각종 열처리 장비의 장단점과 향후 대책 |
과정소개 | 현대 산업현장의 요구 품질수준이 상향 조정되는 추세에 맞추어 사용수명의 중요성이 한층 강조되고 있는 실정이다. 본 과정은 금속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불량사례를 통하여 각 공정 및 품질관리 방안을 생각해 보고 이를 통한 실질적으로 적용 가능한 현장 문제해결 내용 중심으로 구성된 고급과정이며, 실무자부터 임원급까지 수강 가능하도록 하였다. |